발문_성실과 애정으로 쌓아올린 공든 탑
제1부 해방과 분단, 희망과 절망의 도가니 속에서
1장 - 모든 강물은 바다로 흐른다
2장 - 귀국선
3장 - 악극단 공연이 중심이 된 가요계
4장 - 부활하는 레코드 가요
5장 - 우리의 소원은 통일
6장 - 회생의 길 걷는 창극 운동
7장 - 새 길 찾는 악단
8장 - 새 시대 맞아 비약하는 동요계
9장 - 분단의 그늘에 묻힌 노래들
제2부 한국 전쟁 발발과 피난살이
1장 - 원한의 6∙25
2장 - 치열한 격전기에 만들어진 노래들
3장 - 군예대 활동 및 피난 시절의 가요계
4장 - 피난 시절에 창작된 동요와 가곡
5장 - 6∙25를 소재로 창작된 가곡
제3부 활기 띤 환도 후 가요계
1장 - 이별의 부산 정거장
2장 - 잇달아 창설된 레코드사
3장 - '가요 춘추전국 시대'의 대부들
4장 - '가요 춘추전국 시대'의 별들
5장 - 동란 직후 사회상을 반영한 노래들
6장 - 새로 들어온 외국 리듬
7장 - 영화 및 드라마 주제가 붐
8장 - 왜색 시비와 건전 가요 부르기 운동
제4부 가요의 제2황금기 1960년대
1장 - 4월 혁명, 민중의 힘으로 거둔 승리
2장 - 제2공화국의 출범, 그리고 5∙16
3장 - 선풍을 일으킨 미8군 쇼 무대 출신 가수들
4장 - 1960년대를 휩쓴 작곡가 네 명
5장 - <동백 아가씨>로 가요계 여왕이 된 이미자
6장 - 1960년대 전반 두각을 나타낸 가수들
7장 - 한일 회담 타결 이후 '왜색 가요' 논란, 그리고 베트남 파병
8장 - 1960년대 후반에 두각을 나타낸 가수들
제5부 시련 맞는 대중가요, 1970년대
1장 - 가요계의 새 바람, 록과 포크
2장 - 1970년대 상반기 히트곡들
3장 - 가요계 시련의 해, 1975년
4장 - 조용필, 신화의 시작
5장 - 1970년대 후반에 나타난 새 별들
6장 - 서울의 봄, 그리고 광주의 비
제6부 재일 한국인편: 재일 조직의 궤적과 아울러
1장 - 희망과 혼돈 속에서 잇단 조직 결성
제7부 재일 한국인편: 재일 조직의 궤적과 아울러
2장 - 해방 후 25년간 재일 연예계 이모저모
제8부 재일 한국인편: 재일 조직의 궤적과 아울러
3장 - 4∙19로 촉발된 한청 20년의 궤적
이 책과 유사한 도서